반응형

먼저, 우분투를 모르는 사람은 아래의 두 링크를 통해 정의를 보시기 바랍니다.

 

위키 백과 우분투

 

나무 위키 우분투

 

간단하게 말하면, 사용자 데스크톱에 최적화된 리눅스 배포판이고, 6개월마다 새로운 판이 나오며, 장기적으로 지원해주는 LTS가 붙는 버전들이 있다.

 

우분투는 데비안 계열의 리눅스 배포판이고, 우분투라는 이름은 창업자 마크 셔틀워스의 고향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건국 이념인 우분투 정신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다.

 


1. 먼저, 우분투 Desktop iso 파일이 필요합니다.

 

우분투 iso 파일은 우분투 공식 홈페이지인 ubuntu.com/download/desktop 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우분투 Desktop iso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페이지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아래의 사진 속 빨간색 박스로 표시된 Download 녹색 버튼을 누르면 페이지가 바뀌고 조금 기다리면 자동으로 다운로드가 시작됩니다.

 

 

2. 이제 Vbox(virtualbox)에 우분투를 설치해보겠습니다.

 

vbox를 켜면 아래의 사진과 같은 화면이 보일 것입니다.

 

빨간색 박스로 표시된 새로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2-1

 

아래의 사진과 같은 화면이 뜨면 아래의 설명을 참고하여 적은 뒤 계속을 눌러줍니다.

 

이름 : 생성될 운영 체제의 별명을 입력해줍니다.

         (ex. ubuntu_for_installation)

 

머신 폴더 : 생성될 운영 체제에 관한 파일들이 저장될 경로

                 (ex. 외장 디스크로 경로를 지정할 시, 다른 컴퓨터에서도 vbox를 통해 사용 가능)

 

종류 : 생성될 운영 체제의 종류.

         (저희가 생성할 운영 체제는 리눅스 종류입니다.)

 

버전 : 자신이 다운로드한 iso 파일이 32bit인지 64bit인지에 따라 선택.

 

 

2-1-1 (참고)

 

종류 에는 아래의 사진과 같이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종류는 자신이 다운로드한 iso 파일이 어떤 운영 체제인지를 알려주기 위함이므로

 

만약, Windows를 사용하기 위해 윈도우 iso 파일을 올리려면 Microsoft Windows를 선택하면 됩니다.

 

 

2-1-2 (참고)

 

버전 은 자신이 올릴 운영 체제가 32bit인지 64bit인지에 따라 선택해줍니다.

 

다만, 자신이 올릴 운영 체제와 맞는 이름과 bit를 선택해야 합니다.

 

 

2-2

 

가상 머신에 할당할 메모리를 지정합니다.

 

자신의 데스크톱이나 노트북의 RAM이 4GB라면 2GB 정도 할당해주면 됩니다.

 

자신의 데스크톱이나 노트북의 RAM이 8GB라면 4GB 정도 할당해주면 됩니다.

 

그 이상은 보통 6GB나 8GB를 할당해주면 됩니다.

 

만약, 자신의 데스크톱이나 노트북의 RAM8GB인데 가상 머신에 8GB를 다 주면 가상 머신은 원활하게 돌아가겠지만

 

그렇게 한다면 자신의 데스크톱이나 노트북이 원할하게 동작할 수 없게 됩니다.

 

저의 경우는 노트북의 총 RAM 용량이 16GB이므로 가상 머신에 6GB 할당해 주겠습니다.

 

 

2-3

 

계속을 눌러 진행하면 아래의 사진과 같은 화면이 보일 것입니다.

 

보통 사진과 같이 2번째를 선택하고 계속을 눌러 진행하면 됩니다.

 

만약 기존에 사용하던 가상 하드 디스크가 있다면 3번째를 선택하면 됩니다.

 

 

2-4

 

보통은 vbox에서 사용할 경우 아래의 사진과 같이 첫 번째를 선택해주면 됩니다.

 

하지만 나중에 vmware과 같은 가상 머신에서 이용하려면 vmdk를 선택해주면 됩니다.

 

VDI (Virtual Dsik Image) : Oracle vbox(virtualbox)에서만 사용할 경우 사용하는 포맷.

 

VHD (Virtual Hard Disk) : Oracle의 vbox(virtualbox), Microsoft의 Hyper-v, Citrix의 xen에서 사용하는 포맷.

 

VMDK (Virtual Machine Disk) : Oracle의 vbox(virtualbox), VMware의  VMware player에서 사용하는 포맷.

 

 

2-5

 

동적 할당을 선택하고 진행해줍니다.

 

동적 할당은 사용하는 대로 크기가 커지지만

 

고정 크기는 처음에 크기를 딱 지정해 주는 것입니다.

 

 

2-6

 

아래의 사진과 같은 화면이 뜨면 크기를 지정해줍니다.

 

자신의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의 용량이 얼마나 남았는지 확인하고 자신의 상황에 맞게 지정해 주면 됩니다.

 

보통 20GB 정도 주면 되지만 부족할 수도 있기 때문에 30GB나 40GB 정도로 줍니다.

 

그리고 만들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2-7

 

가상 머신이 생성되고 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일 것입니다.

 

왼쪽에는 자신이 설정한 별명으로 목록이 생겼을 것입니다.

 

그리고 설정을 눌러 해당 가상 머신의 설정창에 들어가 줍니다.

 

 

2-8

 

설정 창의 맨 위쪽에 탭들 중 시스템 탭에 들어가 줍니다.

 

아래의 사진 속 빨간색 박스로 표시된 부팅 순서 부분에서 플로피 체크 박스를 해제해 줍니다.

 

PIIX3ICH9보통 PIIX3로 선택합니다.

 

이 둘의 차이점은 간단히 말해서 PIIX3가 오래전부터 지원되어오던 것이고 ICH9는 PIIX3보다 최신으로 생겨난 것입니다.

 

ICH9로 해도 되지만 이는 운영 체제의 종류와 지원 여부를 잘 확인하고 선택해야 합니다.

 

 

2-9

 

위와 동일하게 시스템 탭에서 아래의 사진 속 빨간색 박스 부분 중 마더보드와 가속이 적힌 부분을 보시면 가운데에 프로세서라고 있습니다.

 

해당 설정창에서는 cpu의 코어 수를 선택해줍니다.

 

1로 하면 가상 머신 운영 체제가 버거워 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데스크톱이나 노트북의 cpu 사양을 확인하여 코어 수를 알맞게 조정해주면 됩니다.

 

 

2-10

 

다음으로 저장소 탭으로 들어가서

 

아래의 사진 속 더 작은 빨간색 박스 부분을 눌러줍니다.

 

 

2-11

 

아래의 사진과 같이 화면이 뜨면 사진 속 빨간색 박스 부분을 눌러줍니다.

 

 

2-12

 

그러고 나서 자신이 다운로드하였던 ubuntu Desktop iso 파일을 선택해줍니다.

 

 

2-13

 

아래의 사진과 같은 화면이 뜬다면 다시 한번 자신이 다운로드 받았던 ubuntu Dekstop iso 파일을 선택해줍니다.

 

그리고 확인을 눌러주면 Vbox 세팅은 끝납니다.

 

 

2-14

 

이제 ubuntu Desktop을 실행해 줍니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왼쪽에 있는 자신이 설정한 별명 부분을 두 번 연속으로 클릭하여 실행하는 것이고

 

하나는 해당 가상 머신 운영 체제를 선택 후 오른쪽에 있는 빨간색 박스 부분의 시작 부분을 눌러 시작해줍니다.

 

 

2-15

 

자동으로 진행이 된다면 다행이지만

 

만약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면 귀찮더라도 다시 한 번 다운로드한 ubuntu Desktop iso 파일을 선택해주면 됩니다.

 

 

2-16

 

ubuntu Desktop이 실행되면 처음에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이후 가만히 있거나 혹은 검은 화면에서 진행이 되지 않는다면 Enter를 눌러주면 됩니다.

 

 

2-17

 

아래의 화면에서 Install Ubuntu 버튼을 눌러줍니다.

 

 

2-18

 

키보드의 레이아웃을 설정합니다.

 

보통 한국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Korean을 선택하고 101/104 키를 선택하면 됩니다.

 

Continue를 눌러 진행해줍니다.

 

 

2-19

 

아래의 사진과 같이 선택해준 뒤 continue를 눌러 진행해줍니다.

 

 

2-20

 

여기서는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Erase disk and install ubuntu를 선택한 뒤 Install now를 눌러 진행해줍니다.

 

 

2-21

 

continue를 눌러 디스크 정보를 확인합니다.

 

 

2-22

 

시간을 설정합니다.

 

대한민국에 있는 사람은 서울로 설정하고 continue를 눌러 진행합니다.

 

 

2-23

 

자신의 사용자 계정 이름운영 체제 이름 그리고 계정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

 

아래의 사진을 참고하여 자신의 계정과 비밀번호 그리고 운영 체제의 이름을 설정한 뒤 continue를 눌러 진행해줍니다.

 

 

2-24

 

여기서는 시간이 조금 걸립니다.

 

본격적으로 디스크에 Ubuntu Desktop을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2-25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의 사진처럼 Restart Now가 뜰 것입니다.

 

Restart Now를 눌러줍니다.

 

 

2-26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면 Enter를 눌러주면 됩니다.

 

 

2-27

 

재부팅이 완료되면 아래의 사진과 같이 자신이 설정했던 계정이 뜰 것입니다.

 

자신의 계정을 선택하면 비밀번호 입력 창이 뜨고 설정했던 비밀번호 입력하면 성공적으로 로그인이 완료됩니다.

 

 

3. 우분투 패키지 업데이트 및 업그레이드

 

이제 우분투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프로그램들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해주어야 합니다.

 

우분투 내에서 터미널을 열어 명령어를 입력하면 됩니다.

 

터미널은 아래의 사진처럼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여러 메뉴들이 뜹니다.

 

그중 사진 속 빨간색 박스 부분에 있는 open in terminal을 선택하여 터미널을 열어줍니다.

 

 

3-2

 

먼저, sudo apt update를 입력하여 운영 체제에서 사용 가능한 패키지들과 그 버전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합니다.

 

만약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를 요구한다면 비밀번호를 입력해줍니다.

 

단, 입력하는 비밀번호는 보이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것도 입력되고 있다는 표시가 뜨지 않더라도 입력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3-3

 

다음으로 sudo apt upgrade를 입력하여 패키지들을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해줍니다.

 

 

3-3-1

 

아래의 사진과 같이 뜬다면 Enter 혹은 Y를 눌러 진행해줍니다.

 

 

3-4

 

패키지 설치 혹은 업데이트 후 남은 찌꺼기 파일들을 제거해주어야 필요 없는 파일들이 용량을 차지하는 일이 없어집니다.

 

sudo apt autoremove를 입력하여 필요없는 패키지 관련 파일들을 제거해줍니다.

 

사용자에게 동의를 한다면 위 3-3-1에서와 같이 Enter 혹은 Y를 눌러 진행해주면 됩니다.

 

 


 

이렇게 우분투 Desktop을 vbox에 설치해 보았습니다.

 

리눅스는 Server 버전과 Desktop 버전이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Desktop 버전 설치만 설명되어 있지만 Server 설치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